정부공공부문
- 중앙정부, 지방자치단체 등 정부기관에서발생한 부정 오류(fraud & error)의 발생 원인을 분석
- 정보시스템 & 수작업 시스템 사용 과정 diagram을 통해 업무처리과정을 이해
- 취약점과 위험성을 분석하여 감사방법과 시스템 개선방안, 내부통제 강화방안 등을 제안
번호 | 제목 | 작성자 | 작성일 | 조회 |
8 |
허위공문에 의한 횡령과 세외수입 횡령 사례
관리자
|
2013.05.23
|
조회 1350
|
관리자 | 2013.05.23 | 1350 |
7 |
급여 횡령 사건 원인과 대책 2013년 3월
관리자
|
2013.05.09
|
조회 1336
|
관리자 | 2013.05.09 | 1336 |
6 |
강제 휴가명령제가 실효성이 없는 이유
관리자
|
2013.04.09
|
조회 1077
|
관리자 | 2013.04.09 | 1077 |
5 |
급여관리시스템의 부정 위험 예방
관리자
|
2012.11.08
|
조회 1331
|
관리자 | 2012.11.08 | 1331 |
4 |
정보 왜곡 - 천안함의 교훈
관리자
|
2012.10.12
|
조회 1063
|
관리자 | 2012.10.12 | 1063 |
3 |
복지보조금 횡령사건 사례의 COSO 구성요소에 의한 원인과 예방대책
관리자
|
2012.10.11
|
조회 1137
|
관리자 | 2012.10.11 | 1137 |
2 |
한국석유관리원 재무부서 직원의 검사수수료 횡령사건
관리자
|
2012.10.11
|
조회 1000
|
관리자 | 2012.10.11 | 1000 |
1 |
자치단체 예산회계시스템의 취약점
관리자
|
2012.10.11
|
조회 879
|
관리자 | 2012.10.11 | 879 |